싼타페, 페이스리프트와 자세한 정보, 급발진 사례?!
오늘은 국내에서 엄청난 인기를 자랑하는 싼타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한 정보들과 급발진 사례까지 첨부했으니 여러분의 합리적인 소비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싼타페 1 : 더 뉴 산타페의 공개
더 뉴 싼타페로 확정된 싼타페 TM 페이스리프트는 출시 2년여 만인 2020년 6월 30일에 공개되었고 다음 날인 7월 1일부터 주문을 받았습니다.
싼타페 2 : 더 뉴 산타페의 달라진 점
싼타페는 쏘렌토 MQ4와 경쟁하기 위해 휠베이스가 무려 70mm 늘어났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싼타페의 휠베이스는 늘어나지 않았고 대신 전체 길이가 15mm 늘어났습니다.
싼타페의 휠 사이즈도 변경되어 페이스리프트 후 기존 18인치, 19인치 휠 대신 18인치, 20인치 휠이 새롭게 적용되었습니다.
싼타페는 쏘렌토 MQ4와 달리 차체 크기 문제로 한동안 제공되지 않았던 6인승(2+2+2 배열) 2열 독립 시트는 5인승과 7인승으로 계속 운영됩니다.
싼타페 3 : 더 뉴 산타페 외관
싼타페의 외관은 팰리세이드의 축소 버전으로 보여졌고, 싼타페 실내 센터페시아도 유출됐는데 팰리세이드와 비슷한 모습입니다.
싼타페의 후면부는 후진등이 위로 이동하고 좌우 테일램프에 얇은 선이 가로지르는 등 CN7과 매우 흡사한 H자형 디자인이 적용되었습니다.
싼타페 4 : 옵션
싼타페에 탑제된 내비게이션도 8인치에서 OTA를 지원하는 10.25인치로 커졌고, 싼타페의 부츠 타입 기어시프트는 푸시 버튼 자동 변속기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싼타페를 구입할 때 풀 LCD 계기판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차로 유지 보조(LFA) 등 강화된 ADAS 장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싼타페 5 : 파워트레인
싼타페의 파워트레인은 4세대 쏘렌토와 마찬가지로 기존 R 2.0L/2.2L 디젤 엔진은 NEW-R 2.2L 디젤 엔진으로 통합되고, 세타2 2.0T 가솔린 엔진은 세타Ⅲ 2.5T 가솔린 엔진으로 대체될 예정입니다.
싼타페 트랜스미션은 가솔린은 터보, 디젤은 8단 습식 DCT, 하이브리드는 6단 자동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싼타페 6 : 페이스리프트
싼타페 TM 페이스리프트는 쏘나타 DN8과 동일한 3세대 플랫폼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2020년 2월에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3월 말에는 관계자로부터 싼타페 플랫폼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기사가 다수 등장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2세대 쏘렌토나 오피러스처럼 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은 아니지만, 3세대 플랫폼의 일부를 앞뒤에 적용하는 정도의 변화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결과 2열 레그룸은 기존 싼타페 대비 34㎜(1,060㎜) 길어졌고, 싼타페의 2열 뒷좌석 적재공간은 골프백 4개가 들어갈 수 있는 634리터로 9리터 늘어났습니다.
싼타페 7 :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싼타페 가솔린 모델은 2020년 11월 2일 쏘렌토 가솔린 모델과 동시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은 북미에서 2021년 1분기, 유럽에서 2021년 상반기에 먼저 출시되며, 국내에서는 2021년 7월 1일부터 싼타페 사전계약이 시작되어 7월 9일부터 판매가 시작됩니다.
싼타페 8 : 페이스리프트의 특징
싼타페 상단의 주간주행등과 그릴이 연결되었던 이전 디자인과 달리 주간주행등이 독립되어 눈처럼 생겼고, 싼타페의 헤드램프가 전면 라디에이터 그릴과 합쳐져 전체적으로 사각형이 되어 마스크를 쓴 사람의 이미지를 연상시켜서 마스크 에디션, 즉 코로나 에디션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현대차 모델들은 싼타페의 그릴과 헤드램프를 합쳐 하나의 커다란 그릴을 형성하는 프론트 마스크를 적용하고 있는데, 돌이켜보면 싼타페에 캐스캐이딩 그릴의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패밀리룩을 어느 정도 따르려는 시도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싼타페의 후면부는 크롬 라인이 있던 자리에 크롬 대신 램프 디테일과 리플렉터를 적용하는 등 소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싼타페 9 : 그 외의 특징
싼타페는 당초 2020년 6월 8일 출시 예정이었으나 예상보다 늦어진 환경부의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으로 인해 출시일이 6월 17일로 미뤄졌고, 현대차 신차의 잦은 결함으로 인해 품질 개선을 위해 다시 같은 달로 출시일이 미뤄졌습니다.
싼타페의 가격은 2,975~4,212만 원으로 페이스리프트 전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더 뉴 싼타페는 프리미엄, 프레스티지, 캘리그래피의 세 가지 트림으로 제공됩니다.
싼타페 캘리그래피는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 20인치 알로이 휠, 바디 컬러 클래딩, 실내 퀼팅 나파 가죽 시트 등을 제공합니다.
싼타페는 8가지 외장 컬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글레이셔 화이트, 타이가 브라운, 라군 블루, 화이트 크림, 마그네틱 포스, 팬텀 블랙, 라바 오렌지, 레인 포레스트(캘리그래피 트림만 해당) 등 8가지 외장 컬러와 5가지 내장 컬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블랙 원톤, 다크 베이지, 브라운, 카멜(캘리그래피 트림 전용), 라이트 그레이(캘리그래피 트림 전용) 등 5가지입니다.
향후 커스터마이징 브랜드 'H 순정 액세서리'를 통해 더 뉴 싼타페 전용 상품도 출시할 계획입니다.
싼타페 10 : 판매량
신형 싼타페는 7월 6,252대, 8월 6,224대로 판매 호조를 보였으나 9월에는 4,520대 판매에 그치며 팰리세이드와 쏘렌토에 밀렸습니다.
싼타페는 올해 들어서도 쏘렌토는커녕 QM6에도 판매량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싼타페 하이브리드가 출시된 7월 이후 판매량 반등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싼타페 하이브리드가 출시된 7월에는 QM6를 앞섰지만 여전히 쏘렌토에 밀리고 있습니다.
9월에는 2,189대로 QM6에 밀렸지만, 10월에는 3,494대로 싼타페가 간신히 QM6를 앞섰습니다.
11월에는 2,895대 판매에 그치며 QM6에 밀리며 중형 SUV 시장을 QM2에 빼앗길 위기에 처했지만,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이 선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 4월에는 3~4배 비싼 G90에게 패했습니다.
이쯤 되면 싼타페는 하이브리드로, QM6는 LPG로 버티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7월에는 토레스의 출시가 수요를 잠식하면서 1,361대 판매에 그쳤습니다.
싼타페 11 : 해외 수출
2021년 1월 호주와 미국 시장에 싼타페가 출시되었습니다.
2021년 8월에는 쏘렌토 X-라인과 같은 오프로더 디자인 큐를 적용한 싼타페 XRT가 미국에서 공개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국내 오프로드 시장이 작기 때문에 미국에서만 싼타페 XRT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6일, 6인승 옵션이 추가된 싼타페 2022년형 모델이 공개되었습니다.
좌석 배열은 2+2+2 배열로 쏘렌토 MQ4와 동일합니다.
이미 싼타페의 경쟁 모델인 쏘렌토에 6인승 독립 시트 옵션이 있는 것을 감안하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싼타페 12 : 환경 규제
싼타페 디젤 모델은 강화된 환경 규제와 배기가스 규제 추가에 따라 가격이 인상됩니다.
싼타페 디젤의 출력도 202마력에서 194마력으로 8마력 낮아졌습니다.
싼타페 13 : 하이브리드
2022년형 싼타페 모델은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과 비슷한 수준으로 가격이 책정되었으며, 새로운 기본 트림인 싼타페 익스클루시브에는 10.25인치 내비게이션, 듀얼존 자동 온도 조절 장치, 스마트 파워 테일게이트, 레인 센서, 자외선 차단 윈드쉴드가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주력 트림인 싼타페 프레스티지에는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안전 하차 보조, 후석 승객 알림이 기본으로 제공되며, 최상위 트림인 캘리그래피에는 현대 디지털 키, 스마트폰 무선 충전, 220볼트 인버터(2열에 1개)가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싼타페 14 :23년 최신형
현대자동차는 2022년 9월 20일, 2023년형 싼타페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익스클루시브부터 후방 및 다중 충돌 방지 보조, 1열 센터 사이드 에어백, 후석 승객 알림이 포함되며, 싼타페 프레스티지에는 LED 테일램프와 방향 지시등이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이와 함께 싼타페 프레스티지 초이스 트림에는 1열 및 2열 이중접합 차음 글라스, 퍼들 램프, 유광 필러 바니시, 12.3인치 컬러 LCD 클러스터, 4방향 시트, 운전석 메모리 시트 템퍼, HUD, 디지털 키, 스마트폰 무선 충전 등이 기본으로 추가됩니다.
올 뉴 싼타페는 싼타페로 불리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싼타페의 차체 크기는 맥스크루즈 크기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때 싼타페 TM에 스타리아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될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는데요. 대신 갤로퍼에서 일부 요소를 차용했으며, 현대자동차의 H를 형상화 한 방향 지시등과 방향 지시등을 통합 한 분할 헤드램프, 각진 모서리, 2열 도어의 사각형 측면 창문과 같은 일부 요소를 차용했습니다.
3세대 플랫폼을 부분적으로 이식한 4세대 싼타페 페이스리프트와 달리 5세대 싼타페 모델은 휠베이스를 대폭 늘린 3세대 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싼타페의 스티어링 휠에는 그랜저 GN7과 유사한 버튼이 있으며 중앙에 현대 마크 대신 4 개의 조명 모스 부호 기호가 있습니다.
싼타페의 변속 레버는 버튼에서 기둥 모양의 레버에있는 다이얼로 변경됩니다.
싼타페에 있는 편의 사양으로는 10.25인치 클러스터와 12.3인치 내비게이션 통합 디스플레이, HDA 2, 동승석 오버헤드 수납공간이 적용되며, 서스펜션, 브레이크, 에어백 등에도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술이 동급 중형 SUV 최초로 확대 적용될 예정입니다.
싼타페의 파워트레인은 쏘렌토 MQ4 페이스리프트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젤 모델이 빠질 가능성이 있고 국내 모델은 1.6T HEV와 2.5T 가솔린 두 가지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싼타페 15 : 급발진?
2016년 8월 3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서 1세대 싼타페와 관련된 논란이 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60대 운전자가 딸과 아내, 손녀를 태우고 가던 중 갑자기 싼타페에 이상이 생겨 속도를 줄이지 않고 계속 가속하다가 결국 도로 갓길에 불법 주차된 트레일러 뒷부분을 들이받아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 전원이 사망한 사고였습니다.....정말 안타깝죠.
싼타페 급발진 사고 사례가 적지 않지만, 이번 사고의 경우 사고 차량의 블랙박스에 사고 당시 차량 이상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었고, 앞서 이 차종에서 논란이 됐던 고압펌프 고장과 관련된 증상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졌습니다.
처음에 현대자동차는 싼타페 리콜을 거부했지만 지금은 폐차 될 때까지 천천히 리콜되고 있습니다.
싼타페 16 : 그리고 결함
싼타페의 플라이휠에 결함이 있었지만 수동 변속기의 문제가 더 심각했습니다.
싼타페에 사용된 시스템은 독일 셰플러(LuK) 시스템이었습니다. 일어난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잘못된 싼타페 미션 기어비로 인한 동력 부족으로 1, 2, 3단 기어의 클러치 미끄러짐으로 인한 클러치의 조기 마모. 위와 같은 원인으로 인한 클러치의 조기 마모는 플라이휠의 열 변형을 유발하여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
결합 및 해제 실패 클러치 페달 떨림 3단에서 2단 또는 2단에서 1단으로 변속할 때 미끄러짐으로 인해 싼타페 차량이 정지합니다.
싼타페 시동을 끌 때 클러치가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지 않음.
플라이휠이 가열되어 보라색으로 변함 센터 베어링이 파손됨 오일이 새는 경우 잡고 흔들면 덜컹거림 현대자동차는 이에 대해 리콜을 실시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폐차 될 때까지 싼타페 리콜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싼타페 17 : 결함에도 우수한 판매량
싼타페는 워낙 인기가 많은 차이다 보니 누수 문제가 지상파 뉴스에도 여러 번 나왔지만 판매량은 높았습니다.
이에 대해 '나한텐 안 일어난다', '차 사서 누수되면 바로 불만글을 올린다' 등의 비판이 많았는데요. 사실 어떤 차든 우발적인 결함으로 인한 누수는 있지만 싼타페의 누수율은 비정상적으로 높고, 설계 결함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이런 차를 계속 사면 제조사가 품질 관리에 신경을 쓰는지 의심스럽다는 반응입니다.
보통 이 정도 규모의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모델의 판매량이 급감하고 경쟁 모델들이 수혜를 입는데, 당시 중형 SUV의 판매 추이를 보면 캡티바, 렉스턴 등 경쟁 모델들은 전혀 수혜를 보지 못했고 싼타페의 판매량에는 흠집조차 내지 않았으며 2014년까지 SUV 판매량 1위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오히려 경쟁사의 경쟁력 부족만 보여줬을 뿐입니다.
댓글